VIM Group Example :
MEM_DQ0 라고 되어 있는 것을 MEM_DQ[0] 로 바꾸고 싶다면,
여기서 숫자 ‘0’은 가변..
– MEM_DQ0 -> MEM_DQ[0]
치환, ‘<,’>s
_DQ0 을 찾는다. => _\([A-Z]\{1,}\)\(\d\{1,}\)
괄호로 되어 있는 Group으로 변환한다. _\1[\2]
group 1 -> \([A-Z]\{1,}\)
group 2 -> \(\d\{1,}\)
VIM Group Example :
MEM_DQ0 라고 되어 있는 것을 MEM_DQ[0] 로 바꾸고 싶다면,
여기서 숫자 ‘0’은 가변..
– MEM_DQ0 -> MEM_DQ[0]
치환, ‘<,’>s
_DQ0 을 찾는다. => _\([A-Z]\{1,}\)\(\d\{1,}\)
괄호로 되어 있는 Group으로 변환한다. _\1[\2]
group 1 -> \([A-Z]\{1,}\)
group 2 -> \(\d\{1,}\)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|
# User는 Public-key를 만든다. # 난 이미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나오지만, 그냥 enter를 치면 된다. $ ssh-keygen -t rsa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(/your/homepath/.ssh/id_rsa): /your/homepath/.ssh/id_rsa already exists. Overwrite (y/n)? y Enter passphrase (empty for no passphrase): Enter same passphrase again: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/your/homepath/.ssh/id_rsa. Your public key has been saved in /your/homepath/.ssh/id_rsa.pub. The key fingerprint is: b9:31:7a:72:16:f0:39:90:cb:d2:70:d4:bb:35:8e:cf youraccount@your-server The key's randomart image is: +--[ RSA 2048]----+ | .. | | . .. | | . = . | | = =.oo | | . + S= . | | . .o*. | | o =o | | = E | | | +-----------------+ # /your/homepath/.ssh path에 # id_rsa 와 id_rsa.pub 두 파일이 생성 된다. # id_rsa.pub 의 내부 내용을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 접속자에게 전달 한다. # 상대편은 자신의 계정 /anotheruser/homepath/.ssh/authorized_keys (없다면 생성) 에 # 전달 받은 id_rsa.pub 의 내용을 넣는다. $ cat id_rsa.pub >> authorized_keys # 접속 확인 # 예, user1의 계정으로 user2의 계정으로 svr1 -> srv2 로 접속 $ ssh user2@svr2 => passwd 없이 접속이 되는지 확인 |
Makefile 내에서 shell 명령어를 수행하고 싶을 때가 종종 생긴다.
그럴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|
# date 명령어를 통해 현재 날짜 시간을 받아서 사용하고 싶을 때 NOW = $(shell date +'%y%m%d_%H%M%S') # 특정 dir. 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, 만들어주고 싶을 때 HAVE_DIR = $(shell if [ -e ./logs ]; then echo 1; else echo 0; fi; ifeq ($(HAVE_DIR),0) $(info *********** INFO ./logs directory not found. mkdir logs) $(shell mkdir ./logs) else $(info *********** INFO ./logs directory is exist ) endif |
위 예제에 보면 info 라는 make function이 나온다.
info 외에 warning, error 라는 function도 있다.
make를 사용할 때 요긴한(? ) 옵션들이 있다. (계속 추가 예정)
make -n <target> 실제 명령을 수행하지는 않고, 실행할 명령어들을 print 한다. (–just-print 도 마찬가지)
make -j<n> <target> # n = 1,2,3,...,n -j는 multiprocessing option 이다. 여러 개의 cpu를 사용한다. 적절하게 사용하면 빠르다.
cat -v -e -t <makefile> 사용하고 있는 makefile의 공백과 tap을 구분해서 확인 할 수 있다. (^I , $ 등으로 구분자로 확인 가능)
linux에서 xterm을 실행하면, 아주 font가 별로다.
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바꿔 줄 수 있는데 ..
필자가 찾은 방법은 두 가지 이다.
xterm -fn "<font>"
2. ~/.Xresources 파일을 생성해서 활용하는 방법(link 참조)
https://wiki.mpich.org/mpich/index.php/Configure_xterm_Fonts_and_Colors_for_Your_Eyeball